경기악화로 폐업 후 노숙인 쉼터, 지인의 집을 거쳐 SH매입임대주택에 입주하셨던 양준일(가명)님. 하지만 5평 남짓으로 비좁았던 터라 기본적인 가구집기조차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 조금 더 넓은 평수의 임대주택으로 옮기면서 집을 말끔하게 정돈한 어르신. 쾌적한 주거환경이 주는 안정감과 행복감을 느낍니다.
도시재생에서 가장 중요하게 강조되는 말 중에 하나로 ‘주민’을 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재개발 사업의 폐해로 주민이 쫓겨나는 문제가 발생하면서 도시재생은 주민의 의견을 반영하고, 주민이 참여하고, 주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사업으로 설계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쓰는 '주민'이란 말은 어떤 의미를 담고 있을까요?
제주도의 경우 공가 및 폐가 등 지역적 이슈가 있습니다.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별 사회경제조직의 노력은 있었지만,이를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이 없고 낮은 정보 접근성으로 실제 사회주택이 정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습니다.그래서 한국사회주택협회와 함께 제주에서의 사회주택이 활성화되도록 돕기 위해 제주도를 찾았습니다.
‘사회적경제 조직의 성장지원 및 구매촉진·판로지원을 위한전문가 간담회’가 열렸습니다.‘사회적경제 성장지원방안과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방안’에 대한 연구발표가 진행되었습니다. 사회적경제 조직 전문가, LH전문가들이 공기업이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해야할 것과어려움을 자유롭게논의하였습니다.
가족들과 함께 하는 기대감에 설레는 5월. 곁에 있어 다행이고 소중한 사람들과 잠시 거리를 둬야하는 지금, 여러분의 소중한 나눔으로 주거취약계층분들과의 거리는 한층 더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힘입어 집이 희망이 되는 내일을 만들기 위해 더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